카테고리 없음

아현동 699번지 3115가구 아파트촌으로 ..성북구 하월곡동 70-1 일대..

notaram 2022. 12. 3. 18:06


중앙SUNDAY
[수도권 스카이라인이 바뀐다] ‘돼지슈퍼’ 있던 아현1구역 아파트촌으로, 서울 낡은 주택가 정비사업 급물살
입력2022.12.03. 오전 12:38
신수민 기



공공재개발 후보지로 선정된 아현동 699번지 일대. 3115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뉴스1]
서울 도심의 낡은 주택가도 정비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신속통합기획(신통기획) 사업지 20여 곳을 포함, 모아주택·타운 사업지(65곳)와 공공재개발(32곳) 등 도심 노후주택지 120여 곳에서 재개발 사업이 진행 중이다. 연말 신통기획 사업지 선정까지 마무리되면 사업을 본격화하는 재개발 사업지는 140여 곳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해 5월부터 24만 가구 주택 공급(2025년까지)을 위해 도심 정비사업 활성화를 적극 추진해왔다.

성북구 하월곡동 70-1 일대가 대표적 예다. 그간 이곳은 ‘2종 주거지역 7층 이하’ 높이 규제로 재개발 사업이 제대로 추진되지 못했지만, 신통기획 후보지가 되고 서울시의 7층 규제 완화로 추진 동력을 얻고 있다. 이로써 미아사거리 일대에서 추진하던 미아뉴타운 마지막 퍼즐이 맞춰질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신통기획은 민간 주도 정비사업에 공공이 정비계획 수립 초기 단계부터 각종 절차를 지원하는 제도로, 정비사업 기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통상 5년 걸리던 정비사업 기간을 최대 2년까지 단축할 수 있다는 게 서울시의 설명이다.

지난 7월 정비계획안이 가결된 신림1구역도 신통계획 덕에 정비계획안 입안부터 심의까지 7개월 만에 진행했다. 신림1구역은 2006년 재정비촉진지구 지정 이후 지역 내 갈등, 무허가 건축물 문제 등으로 사업 진행이 더딘 상황이었다. 서울시 관계자는 “지난해 선정된 21곳은 신통기획안 수립에 들어가 내년 상반기 정도까지 정비구역 지정이 대부분 완료될 것으로 보고 있다”라고 말했다.

모아타운 사업지 60여 곳도 2026년 3만 가구 공급을 목표로 재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모아타운은 대규모 재개발이 어려운 10만㎡ 이내 노후 저층 주거지를 하나로 묶어 진행하는 지역 단위 정비방식으로, 1500㎡ 이상 블록 단위로 아파트를 공동 개발하는 모아주택(소규모주택정비사업) 추진이 가능하다. 서울시는 올해 자체 발굴 지역 17곳을 포함해 상반기 강북구 번동 454-61, 노원구 상계2동 177-26 등 21곳, 하반기 강북구 번동 411, 은평구 불광동 170 등을 포함 26곳을 선정했다. 지난달 7일에는 강남구의 첫 모아타운으로 일원동 619-641 일대가 추가 선정되면서 노후 주택지 재개발에 물꼬를 트게 됐다. 최근 모아타운 사업지 중랑구 면목동 86-3번지 일대와 구로구 고척동 241-2번지는 DL건설을 시공사로 선정하면서 재개발 사업을 본격화했다. 면목동 일대는 모아타운 사업을 통해 1850세대가 공급될 예정이다.

영화 ‘기생충’ 촬영지로 잘 알려진 ‘돼지슈퍼’가 위치한 아현1구역은 3000가구 이상의 아파트 단지로 탈바꿈할 준비를 하고 있다. 올해 공공이 정비사업을 주도하는 공공재개발 구역으로 선정되면서다. 영등포구 도림동 26-21, 마포구 아현동 699, 종로구 연건동 305 등 도심 노후주거지 8곳이 공공재개발 2차 후보지로 선정됐다. 지난해 두 차례에 걸쳐 선정된 1차 공공재개발 후보지 24곳과 합치면 총 3만5000가구가 공급된다. 서울시가 민간 뿐 아니라 공공재개발에도 힘쓰는 건, 사업성이 부족하거나 정체된 사업에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이 시행자로 참여해 사업 속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지난해 사업지로 선정된 용두 1-6구역은 올해 8월 HDC현대산업개발·현대엔지니어링 컨소시엄을 시공사로 선정하면서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 용두 1-6구역은 2000년, 2008년 정비구역으로 지정됐지만 부동산 경기 침체 등으로 사업이 정체됐던 곳이다. 이 외 흑석2구역도 시공사(삼성물산) 선정을 마쳤고, 강북5구역도 시공사 선정을 앞두고 있다.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신통기획은 정비사업 지연이 사업비용 증가로 이어지는 비효율을 해결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라며 “공공재개발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금리 인상기 자금조달 문제나, 각 단계별 사업주체 간 이해관계 문제, 투명성 등 후속 조치까지 잘 관리해야 한다”고 짚었다.

신수민 기자 shin.sumin@joongang.co.kr
기자 프로필
중앙SUNDAY
신수민 기자
구독
구독자 54
응원수 110
SK네트웍스,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충
[뉴노멀 된 킹달러] 환율 레벨업 1300원+α, 미·유럽 직구 줄고 경차 판매 급증
Copyright ⓒ 중앙SUNDAY.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조용히 바쁜 행보…김건희 여사, 말려도 유족 찾아간 사연
건강 위해 육식보다 채식? 틀렸다…단, 숯불구이땐
중앙SUNDAY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에서 선정하며 언론사 페이지(아웃링크)로 이동해 볼 수 있습니다.
대학생들 '컴공' 전쟁중인데, 교수 없어 강좌도 못 열어
대치 미도 50층, 여의도 시범 65층, 이촌 한강맨션 68층…주요 재건축 단지 '35층 룰' 뚫고 초고층으로 탈바꿈
"분초 다투는 외상 환자 응급치료에 민군이 따로 있나요"
공고 나온 흙수저 성악가 "시골 길 무서움 떨치려고 새마을 노래 열창 목트여"
월드컵 '무지개 완장' 소동, FIFA 이중성에 화합 정신 퇴색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쏠쏠정보
4
흥미진진
0
공감백배
0
분석탁월
0
후속강추
0
중앙SUNDAY 언론사홈 바로가기
2022 프리미엄콘텐츠 연말결산!
섬네일 이미지
프리미엄콘텐츠의 2022년 돌아보기!
올해의 키워드, 콘텐츠 사용량, 인기 콘텐츠, 성연령별 구독 채널까지!

중앙SUNDAY가 이 기사의 댓글 정책을 결정합니다.
전체 댓글0MY댓글
댓글 상세 현황
현재 댓글 0작성자 삭제 0규정 미준수 0
댓글 쓰기
댓글 입력
댓글을 입력해주세요
공지사항
이태원 사고 댓글 작성시 주의 부탁드립니다
댓글 정렬 옵션 선택
순공감순 최신순 공감비율순
BEST댓글 운영 기준 안내안내 레이어 보기
클린봇이 악성댓글을 감지합니다.
설정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앙SUNDAY 랭킹 뉴스
오후 4시~5시까지 집계한 결과입니다.
더보기
많이 본
댓글 많은


















내가 설정한 다른 언론사 보기
조선일보
조선일보

월간산
월간산

매일경제
매일경제

조선비즈
조선비즈

함께 볼만한 뉴스
안내
1 페이지 2 페이지 3 페이지 4 페이지 5 페이지
함께 볼만한 프리미엄 유료안내












1 페이지 2 페이지 3 페이지
로그아웃 전체서비스

서비스안내 뉴스도움말 오류신고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제공처 또는 네이버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NAVER Corp. ⓒ 중앙SUN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