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백신접종후 왜 암과 백혈병이 폭증하고 있을까? 면역학자 배용석2022. 6. 30.

notaram 2022. 10. 1. 12:33


백신접종후 왜 암과 백혈병이 폭증하고 있을까?

프로필
면역학자 배용석
2022. 6. 30. 19:03

이웃추가본문 기타 기능
스파이크 단백질의 중화요법에 대해



22.06.30 Dr.오



4) 왜 암과 백혈병이 폭증하고 있을까?



암은 우리나라의 가장 흔한 사망원인으로 1년에 7-8만 명이 암으로 사망합니다.



코로나 사망은 이에 비하면 훨씬 약소하지만, 정부 당국 뿐 아니라 온 국민이 암보다 코로나 예방에 엄청난 시간과 자금을 쓰고 있습니다.



그런데 국민의 힘 최춘식 의원이 심사평가원에 긴급히 요구한 자료를 살펴보면 놀라운 사실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22년 1월에서 4월까지의 암 발생이 예년에 비해 폭증한 것입니다.    




표  연령별, 연도별  암 발생률 현황


표 연령별, 연도별 백혈병 발생률 현황



백신접종 시작 2021년 2월 26일



금년 1월에서 4월 까지 발생한 암은 104만 8017명으로 21년 발생건수 153만 5047명의 약 70%에 해당합니다.



2019년  143만 9330명

2020년  146만   528명



2021년  153만 5047명

2022년 4월까지  104만 8017명



백혈병은 전년도에 발생한 2만 5558명의 77%에 해당하는 1만 9667명이 올 1-4월에 발생했습니다.



2019년  2만 3469명

2020년  2만 4151명



2021년  2만 5558명

2022년 4월까지 1만 9667명



도대체 왜 이런 엄청난 일이 벌어진 것일까요?  







암은 1편에서 언급한 것처럼 종류를 불문하고 유전자의 변이가 직접적인 원인입니다.



관련 인자와 간접원인은 흡연, 술, 짠 음식, 탄 음식, 과도한 육식, 방사선, 석면, 벤젠, 대기오염, 세균(헬리코박터 파일로리), 바이러스(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인간T림프영양바이러스HTLV, B형간염바이러스) 아플라톡신, 그리고 유전 입니다.



위와 같은 인자들이 올해 유독 증가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예년과 다르게 유전자 변이를 일으킬 정도로 중대한 요인으로 코로나감염, 유전자 주사, 그리고 3년 동안의 마스크 착용을 꼽을 수밖에 없습니다.



코로나 전염병은 여러 지표를 볼 때 이미 감기처럼 풍토병화 되었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하더라도, 유전자 주사와 마스크 착용은 이미 많이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중지해야겠습니다.



그리고 암 폭증이 과연 코로나 때문인지, 아니면 유전자 주사 때문인지를 알기 위해서라도 접종의 중지와 미접종자의 보호가 대단히 중요합니다.



암을 유발하는 세균과 바이러스에 대해 궁금해 하시는 분이 많을 것 같아 이에 대해 잠깐 언급을 해보겠습니다.



먼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입니다.



이 세균은 특이하게도 강한 위산 속에서도 죽지 않고 위에 기생하여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위염, 위암을 일으킵니다. 한국인의 감염률은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는데 2018년 한 연구 자료에 의하면 국민의 43.9%가 감염되었다고 합니다.



제가 대학에 재직할 당시였던 98-99년도에 종합건강 검진 환자를 대상으로 감염률을 조사한 적이 있었는데 70%에서 양성이었습니다. 위생수준이 높아지고 1인 가구가 늘어서 그런지 20년 동안 26%가 낮아졌습니다.



헬리코박터파일로리가 양성이라고 해서 모두가 위암에 걸리는 것은 아닙니다. 증상이 없거나, 경증의 위염 정도만 있는 분은 굳이 제균 치료를 할 필요가 없습니다.



위궤양이 자꾸 재발하는 분은 제균 치료가 필요합니다. 제균 치료는 보통 항생제 두 가지와 PPI계통의 위산분비 억제제를 병합해서 치료하게 됩니다.



인간유두종바이러스는 성적 접촉으로 감염되는데 자궁경부암의 원인이 되고, 인간T림프영양바이러스HTLV도 동성애자, 성행위, 수혈, 마약중독자가 쓰는 주사기 등으로 감염되는데 잠복기가 30-40년 정도로 아주 긴 것이 특징입니다.



이 바이러스는 백혈병을 일으킵니다. 보균자에서 백혈병이 발생할 확률은 1% 미만이라고 합니다. 수혈로 전염이 될 수 있기 때문에 2010년 4월부터 모든 수혈용 헌혈혈액에서 HTLV 항체에 대한 선별검사가 실시되었습니다.



B형 간염 바이러스는 간암을 일으킵니다. 대부분의 간암환자에서 B형 간염바이러스가 양성이기 때문에 가장 확실한 간암의 원인 바이러스입니다.



아플라톡신은 세균도 바이러스도 아닌, 부패한 견과류, 쌀, 옥수수, 땅콩 등의 곰팡이에서 나오는 독입니다. 이것은 간염 및 간암을 유발 합니다.



암은 세포내 유전자의 변이 때문에 발생한다는 것은 이미 확정된 하나의 중심도그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유전자 변이의 가장 많은 원인은 세포내 환경변화로 인한 활성산소의 증가와, 세포의 염증입니다.



세포의 염증도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서 이에 대해서는 따로 단원을 만들어 설명하겠습니다.



활성산소는 유전자 변이 뿐 아니라, 세포내 지질, 단백질, 효소를 산화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킬 수도 있습니다.



비활성화 된 단백질이 세포내 축적이 되는 것을 ‘변성(degeneration)’이라고 하는데 대표적인 질환으로 알츠하이머 치매와 파킨슨병이 있습니다.



1편에서 유전자 주사가 만든 스파이크 단백질이 세포내 환경을 변화시키고, 미토콘드리의 막에 구멍을 내 다량의 활성산소 누출 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말씀드렸습니다.



활성 산소는 발암은 물론 증식, 전이에도 관여합니다. 암세포에는 활성산소가 증가 되어 있지만, 항산화물질(비타민C, E등의 비타민류, 글루타치온 등), 항산화효소(SOD-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그리고 항산화유전자는 정상세포에 비해 훨씬 낮습니다.



활성산소는 암 억제 유전자인 p53에 돌연변이를 일으킵니다. p53유전자에 의해 생성된 단백질은 세포의 DNA가 손상을 입었는지 점검하는 단백질입니다.



DNA가 염기서열이 제대로이면 p53은 세포분열을 진행시키고, 손상되었으면 이를 수선하는 유전자를 활성화시켜 수선 단백질을 만들어 냅니다.



수선을 담당하는 유전자 중에는 브라카 유전자라는 것이 유명합니다. 이 유전자가 손상되면 난소암과 유방암이 발생합니다.



안젤리나 졸리의 어머니는 난소암, 이모는 유방암에 걸려 사망하였는데 그 고통을 지켜본 졸리는 자신에게도 유전자 변이가 있는지 궁금하여 검사를 받았습니다. 브라카 유전자(BRCA1과 BRCA2가 있습니다)에 변이가 있음을 알게 된 그녀는 양쪽 유방을 절제하고 난소를 적출하였습니다. 그 계기로 브라카 유전자가 많은 사람에게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만약 DNA 손상이 수선하기에 너무 치명적이면 p53단백질은 세포가 스스로 파괴되도록 유도합니다. 이를 세포사멸(apoptosis)라고 합니다.



세포사멸은 변이된 세포가 계속 성장하지 못하도록 하며 다른 건강한 세포로 하여금 손상된 세포를 대체하기 위해 세포 분열을 촉진시킵니다.



p53유전자가 활성산소로 손상을 받아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못한다면 손상을 입은 DNA는 세포 분열을 진행할 수밖에 없게 되어 결국 암세포가 되고 마는 것입니다.



요약하면, 첫째 유전자 주사는 미토콘드리아를 손상시켜 활성산소를 만들어내고 활성산소는 유전자변이를 일으켜 암을 유발할 수 있고,



둘째 금년 1-4월간의 폭증한 암 발생률은 코로나, 유전자주사, 장시간의 마스크 착용이 모두 가능한 원인일 수 있으므로 이의 명확한 규명을 위해서 광범위한 연구가 필요하며,



셋째 폭증하는 암 예방을 위해 당장 조치할 수 있는 백신 접종 중단, 마스크 착용 중지는 빨리 시행되어야 합니다.






71
공감한 사람 보러가기댓글 13공유하기
면역학자 배용석
이달의 블로그
면역학자 배용석
건강·의학
서울대학교 식품공학과 졸업, 성균관대학교 의학과 의학석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연구원, 미국 University of Pennsylvania 병원 이식외과 Visiting Scholar,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내과 연구원, (주)스마트푸드디엠 대표이사

이웃추가

이 블로그
연구소
카테고리 글
2022년 상반기 6개월동안 코로나 사망자 1만 8930명 누적 사망자 2만 4555명
2022. 7. 1.
11
댓글 0
6월 30일까지 6월 코로나 사망자 358명 누적 사망자 2만 4555명
2022. 7. 1.
12
댓글 1
백신접종후 왜 암과 백혈병이 폭증하고 있을까?
2022. 6. 30.
71
댓글 13
백신접종후 반응이 왜 사람마다 다를까?
2022. 6. 30.
29
댓글 9
코로나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 바로 알기
2022. 6. 30.
20
댓글 2
이전

다음
이 블로그 인기글
백신접종 후 1~2년 지나 중증환자와 사망자가 급증하는 이유?
2022. 9. 17.
85
댓글 6
이번 가을 독감백신 믿을 수 없어
2022. 9. 7.
35
댓글 0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코로나19 팬데믹은 끝났다”
2022. 9. 20.
29
댓글 0
백신 해독을 안 하면 어떻게 될까요?
2022. 9. 9.
63
댓글 6
코로나 백신 해독 집중 강좌 및 코로나 백신 해독을 위한 범국민 운동본부 발대식
2022. 9. 20.
43
댓글 4
백신 부작용이 남의 일이 아닌 이유
2022. 9. 10.
110
댓글 3
백신부작용 사망자 미리 막을 수 있었지만 문재인 정부는 막지 않았다.
2022. 9. 18.
35
댓글 5
2022년 이왕재 교수님 강연과 연설
2022. 9. 25.
45
댓글 2
"팬데믹 끝났다" 바이든 한마디에 미국 백신주 시총 14조원 증발
2022. 9. 21.
38
댓글 2
코로나 백신 해독 집중 강좌 및 해독을 위한 범국민운동본부 발대식 실황 (배용석-전기엽-이왕재-신제노)
2022. 9. 19.
42
댓글 1
이전

다음
맨 위로

PC버전으로 보기
71
공감한 사람 보러가기댓글 13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