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46일만에 확진자 6만명 육박… “7차 대유행 이미 시작”11월 중순~말경 정점 달할 것 2022.11.02.

notaram 2022. 11. 2. 15:57


중앙일보
46일만에 확진자 6만명 육박…“7차 대유행 이미 시작”
입력2022.11.02. 오전 12:01  수정2022.11.02. 오전 12:02

코로나19 신규 환자가 1일 전날보다 4만 명 가까이 급증하며 단숨에 6만 명에 육박했다. 예상보다 빨리 7차 유행이 시작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환자는 5만8379명 발생해 지난 9월 16일(5만1848명) 이후 46일 만에 5만 명대로 올라섰다. 주말 효과로 확진자가 줄었던 전날(31일·1만8510명)과 비교하면 하루 새 약 4만 명 불어난 것이다.

1주일 전인 지난달 25일(4만3742명)보다는 1만4637명, 2주일 전인 지난달 18일(3만3221명)과 비교하면 2만5158명 증가했다. 화요일 발표 기준으로 보면 지난 9월 6일(9만9813명) 이후 8주 만에 최다치다.

최근 환자 증가세는 뚜렷하다. 7일(10월 26일~11월 1일)간 신규 환자는 평균 3만7200여명으로 직전 주(10월 19~25일, 2만7200여명)보다 1만 명 늘었다. 방대본에 따르면 감염재생산지수도 꾸준히 올라 10월 셋째 주(10월 16~22일) 기준 1.09로 집계됐다.

정재훈 가천대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지난주부터 7차 유행이 시작됐다고 봐야 한다”며 “이번 주부터 본격적으로 환자가 증가하는 추세로 가면서 11월 중순~말경 정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아직 검출률이 1% 미만이긴 하지만 높은 전파력과 면역 회피능력을 가진 새로운 변이(BQ.1, BQ.1.1)가 확산하는 데다 기존 접종이나 감염으로 얻은 면역 효과가 감소하고 있는 게 환자 증가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바이러스가 활동하기 좋고 실내로 인구가 모여드는 계절적 특성도 불리한 요인이다. 각종 방역 조치가 해제되면서 경각심이 낮아진 데다 이동과 모임이 많이 늘어난 측면도 바이러스 확산을 부추기고 있다.

7차 유행이 오더라도 정점의 수준은 지난 8월의 6차 유행 정점(18만745명)보단 낮은 선에 그칠 가능성이 있다고 전문가들은 예측한다. 정재훈 교수는 “정확한 예측은 어렵지만, 지난번 유행보다는 (정점 규모가) 작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6차 유행 때 최대 확진자가 18만 명대로 나왔고 숨은 감염자까지 고려하면 30만 명 이상의 면역이 한동안 유지될 것이기 때문에 새 유행의 폭이나 정점 수준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거란 의견이다.

그러나 최근 5주간 치명률(0.06%→0.09%)과 중증화율(0.12%→0.19%)이 50%씩 급증하고 있어 7차 유행의 크기가 비록 이전보다 작더라도 적절히 대응하지 않으면 피해가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지난달 22일 196명까지 내려갔던 재원 중 위중증 환자는 꾸준히 늘어 288명까지 증가했다. 사망자도 전날(18명)보다 15명 늘어난 33명이다.

정기석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장은 전날 브리핑에서 “백신에 의한 면역이란 방패는 시간이 갈수록 닳아 제때 보강하지 않으면 역할할 수 없다”며 “면역력이 높지 않으면 중증화율과 치명률을 더 높이는 쪽으로 갈 수밖에 없다. 예방접종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고위험군인 경우 치료제 처방이 나면 5일간 제대로 먹어달라”고 강조했다. 지난달 11일부터 개량백신 접종이 시작됐지만 1일 0시 기준 대상자 중 2.5%만 맞았다. 60세 이상 접종률도 대상자 대비 7.7%에 그친다.

황수연 기자 ppangshu@joongang.co.kr
기자 프로필
구독

중앙일보 황수연 기자
구독자 2,876
응원수 1,668
복지팀에서 보건·복지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사실을 정확히 전달하겠습니다.

"팔다리만 밟혔어도 무조건 병원가라" 심정지 경고한 의사 왜
정부에 SOS 요청도…韓 유일 뇌졸중 치료제 "재고 곧 바닥" 왜
Copyright ⓒ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새로운 뉴스를 탐색하라 The JoongAng Plus
해밀톤만 불법 아니었다, 그 골목 17곳중 정상 단 3곳
중앙일보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에서 선정하며 언론사 페이지(아웃링크)로 이동해 볼 수 있습니다.
'토끼머리띠' 지목된 男 "나 아니다"…꺼낸 증거 보니
"쓰레기 XX" 이근 분노케한 이태원 참사 댓글
'평당 2억' 노리는 신동아…"46평 투자땐 10억 번다"
손흥민 '안면 부상'…순식간에 얼굴 퉁퉁 부어올랐다
'다이아 찾아라' 인파 속 보물찾기…수천명 뒤엉켰다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쏠쏠정보
0
흥미진진
0
공감백배
0
분석탁월
0
후속강추
0
중앙일보 언론사홈 바로가기
'프리미엄 콘텐츠' 창작자 발굴 프로젝트
섬네일 이미지
창작자 발굴 프로젝트 스타 채널의 주인공은?
이과형님, 휴식이형님, 바리수님의 인터뷰를 만나보세요!

중앙일보 헤드라인
1 페이지 2 페이지 3 페이지
중앙일보가 이 기사의 댓글 정책을 결정합니다.
전체 댓글0MY댓글
댓글 상세 현황
현재 댓글 0작성자 삭제 0규정 미준수 0
댓글 쓰기
댓글 입력
댓글을 입력해주세요
공지사항
이태원 사고 댓글 작성시 주의 부탁드립니다
댓글 정렬 옵션 선택
순공감순 최신순 공감비율순
BEST댓글 운영 기준 안내안내 레이어 보기
클린봇이 악성댓글을 감지합니다.
설정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앙일보 랭킹 뉴스
오후 2시~3시까지 집계한 결과입니다.
더보기
많이 본
댓글 많은




















내가 설정한 다른 언론사 보기
조선일보
조선일보

월간산
월간산

매일경제
매일경제

조선비즈
조선비즈

함께 볼만한 뉴스
안내
1 페이지 2 페이지 3 페이지 4 페이지 5 페이지
함께 볼만한 프리미엄안내












1 페이지 2 페이지 3 페이지
로그아웃 전체서비스

서비스안내 뉴스도움말 오류신고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제공처 또는 네이버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NAVER Corp.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