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고령자는 상대적으로 차량과의 거리가 더 짧을 때 길을 건너려는 경향이 뚜렷 … 교통사고 사망 44%가 65세 이상 2022.10.26.

notaram 2022. 10. 26. 09:07


중앙일보
차량 다가와도 길 건너다가…교통사고 사망 44%가 65세 이상
입력2022.10.26. 오전 12:01  수정2022.10.26. 오전 12:02

2022 안전이 생명이다 ⑥
고령화 시계가 빨리 돌아가면서 노인 교통사고에도 ‘빨간불’이 들어왔다.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 피해가 집중된 고령층은 어린이 등 다른 연령대에 비해 그 감소세도 더딘 편이다. 신체·인지 능력 저하로 운행 중인 차량이 가까이 접근해도 길을 건너는 경우가 많은 데다 일단 사고가 발생하면 치명적이다.

25일 한국교통안전공단에 따르면 국내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2019년 3349명에서 2021년 2916명으로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그런데 지난해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의 44%(1295명)가 65세 이상 노인이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27%)의 1.6배에 달한다. 고령층은 연간 사망자 감소 폭도 5.8%에 그치면서 전체 보행자(10.1%), 어린이(19.5%)보다 훨씬 더딘 편이다. 그렇다 보니 인구 대비 고령자 교통사고 사망자 수(2019년 기준)는 OECD 30개 회원국 중 가장 많다.

특히 급속한 고령화 속에 노인 인구는 빠르게 늘고 있다.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2020년 815만명이던 노인 인구는 2050년 1900만명이 될 전망이다. 앞으로 교통사고로 숨지는 고령자가 덜 줄거나 오히려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교통사고로 숨지는 고령층이 많은 데엔 이들이 가진 특성이 깔려있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이 보행자의 횡단 판단 능력을 시험했더니 고령자는 상대적으로 차량과의 거리가 더 짧을 때 길을 건너려는 경향이 뚜렷했다.

60세 미만은 횡단보도에서 평균 76.7m 거리에 차량이 접근하면 횡단을 포기하고 인도로 물러섰다. 반면 60세 이상은 차량이 64.7m 앞까지 접근해야 건너지 않았다. 특히 차량 운행 속도가 높을수록 연령별 판단의 차이가 뚜렷했다. 시속 60㎞일 때 횡단 포기 시점은 60세 이상이 65.7m, 60세 미만은 81.2m로 그 차이가 15.5m에 달했다. 하지만 시속 50㎞에선 8.5m로 줄었다.

고령자는 걷는 속도가 느린 데다 횡단 여부 판단이 어렵다 보니 사고·사망 위험은 높을 수밖에 없다. 실제로 2017~2019년 무단횡단으로 보행자가 숨진 사고의 62.1%는 고령자였다. 또 노인들은 신체적으로 취약해 교통사고를 당하면 치사율이 높다. 한국교통안전공단 관계자는 “고령자는 인지 능력 저하로 횡단 판단 능력에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그래서 자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차가 빨리 올 수 있다는 걸 고려해 여유를 두고 길을 건너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노인보호구역(실버존) 같은 고령자 교통 법규를 아는 사람은 상대적으로 적다. 이 때문에 운전자는 노인 보행자를 배려하고, 고령자들도 무단횡단을 자제하는 등 안전 중심의 교통 문화가 정착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정부도 고령 보행자 사망을 줄이기 위한 대책을 내놓고 있다. 올해 들어 실버존 지정 기준이 복지시설 등 시설물 중심에서 노인 보행이 빈발한 장소로 확대되고 있다. 보행 속도에 따라 녹색 신호가 자동 연장되는 등의 ‘스마트 횡단보도’는 최근 2년간 300곳가량 설치됐고, 앞으로 더 늘릴 계획이다. 실버존에 단속장비, 안전시설 등을 의무화하는 내용의 법 개정도 추진하고 있다.

한국교통안전공단·중앙일보 공동기획

세종=정종훈 기자 sakehoon@joongang.co.kr
기자 프로필
구독

중앙일보 정종훈 기자
구독자 1,501
응원수 1,364
항상 ‘현장’의 눈으로 취재 ‘현장’을 보기 위해 노력하는 정종훈 기자입니다. 다양한 시선과 생각을 기사라는 잘 정돈된 그릇에 담아낼 수 있도록 치열하게 현장을 찾겠습니다.

[단독]폴란드 '패트누브 원전' 수출 파란불…31일 韓서 LOI 체결
한전 적자가 부른 23조 채권발행…자금시장 ‘블랙홀’ 됐다
Copyright ⓒ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최순실 때 같은 치명타 없다…"역공 빌미 제공" 논란의 김의겸
[단독]북한군 격퇴 없이…美 "지상군, 北WMD 제거 투입"
중앙일보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에서 선정하며 언론사 페이지(아웃링크)로 이동해 볼 수 있습니다.
"먹던 거 아닙니다"…속초 횟집 6만원짜리 회 '충격'
김의겸, 최순실 때 같은 치명타 없다…"역공 빌미만"
새로운 뉴스를 탐색하라 The JoongAng Plus
"나 모르겠니"…김신영 놀란 '노래자랑' 출연자 정체
"이재명 소년원 다녀왔다"던 가세연, 첫 공판서 깜짝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쏠쏠정보
1
흥미진진
0
공감백배
0
분석탁월
0
후속강추
0
중앙일보 언론사홈 바로가기
더 많은 콘텐츠를 만나는 방법
섬네일 이미지
눈에 띄는 채널과 인기 콘텐츠! 나도 구독해 볼까?
다른 사람들은 어떤 채널을 구독했을까? 첫 달 무료 구독 쿠폰으로 구독 후 직접 확인해 보세요!

중앙일보 헤드라인
1 페이지 2 페이지 3 페이지
중앙일보가 이 기사의 댓글 정책을 결정합니다.
전체 댓글0MY댓글
댓글 상세 현황
현재 댓글 0작성자 삭제 0규정 미준수 0
댓글 쓰기
댓글 입력
댓글을 입력해주세요
댓글 정렬 옵션 선택
순공감순 최신순 공감비율순
BEST댓글 운영 기준 안내안내 레이어 보기
클린봇이 악성댓글을 감지합니다.
설정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앙일보 랭킹 뉴스
오전 7시~8시까지 집계한 결과입니다.
더보기
많이 본
댓글 많은




















내가 설정한 다른 언론사 보기
조선일보
조선일보

월간산
월간산

매일경제
매일경제

조선비즈
조선비즈

함께 볼만한 뉴스
안내
1 페이지 2 페이지 3 페이지 4 페이지 5 페이지
함께 볼만한 프리미엄안내












1 페이지 2 페이지 3 페이지
로그아웃 전체서비스

서비스안내 뉴스도움말 오류신고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제공처 또는 네이버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NAVER Corp.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