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둔촌주공아파트, 대단지의 생애 이인규 지음 ‘안녕, 둔촌주공아파트

notaram 2023. 7. 1. 08:09


중앙SUNDAY
‘부동산’보다 ‘동네’ 토박이가 짚은 역사
입력2023.07.01. 오전 12:26
1


댓글
본문 요약봇
텍스트 음성 변환 서비스 사용하기
글자 크기 변경하기
SNS 보내기

둔촌주공아파트, 대단지의 생애
둔촌주공아파트, 대단지의 생애
이인규 지음
마티

21세기 한국 사회에서 재건축 아파트는 어떤 의미일까. 어떤 사람들에겐 오랜 세월 가족과 함께 살아온 추억이 겹겹이 쌓인 공간일 것이다. 동시에 재건축 시세차익을 기대하는 사람들이 몰리는 곳이기도 하다.

그중에서도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아파트는 사회적으로 각별한 주목을 받는 곳이다. 웬만한 미니 신도시급으로 단일 아파트 단지로는 역대 가장 큰 규모다. 기존의 5930가구를 철거하고 새로 1만2032가구를 짓는다. 단군 이래 최대 재건축 사업이란 수식어가 붙는 이유다.

둔촌주공에서 나고 자란 저자는 남다른 애정을 갖고 이 아파트 단지의 40여년 역사를 되짚는다. 1970년대 대한주택공사가 둔촌지구 개발에 착수한 무렵부터 올해 초 우여곡절 끝에 재건축 일반 분양을 마무리한 시점까지다. 저자의 시선에는 사라져가는 아파트 단지에 대한 아쉬움이 진하게 느껴진다. 그렇다고 낡은 아파트를 보존하자고 주장하는 건 아니다. 다만 1979년 아파트 준공 이후 수많은 이들이 지나온 일상생활의 풍경을 재건축 이후에도 잊지 않고 기억하고 싶다는 뜻을 내비친다.

아파트 단지의 가치를 돈으로만 따질 수는 없다. 다른 한편으로 돈을 완전히 제쳐놓고 생각할 수도 없다. 재건축한다는 건 그만큼 아파트가 오래되고 낡았다는 뜻이기도 하다. 오래된 아파트에는 그곳 주민들의 기쁨과 슬픔, 즐거움과 괴로움이 함께 담겨 있는 게 당연하다. 저자는 “둔촌주공아파트가 40년 동안 한결같은 모습으로 머물러 있었기에 그곳에 살았던 이들도 공간과 지긋하게 관계를 맺고 애정을 키울 수 있었다”고 말한다. 사실 다른 대부분의 재건축 단지에도 똑같이 할 수 있는 얘기다.

이 책은 이곳에서 살아온 주민들의 생활사를 꼼꼼하게 기록한 ‘안녕, 둔촌주공아파트’라는 프로젝트의 연장선이다. “이전까지 아파트 단지의 이야기가 대체로 투기적 욕망과 그에 대한 날 선 비판으로 양극화되어 있었다면 ‘안녕, 둔촌주공아파트’는 아파트 단지가 누군가의 집이자 동네라는 사실에 주목했다”는 게 저자의 설명이다.

주정완 논설위원 jwjoo@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SUNDAY.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황금두꺼비 새기다니" 탄식…달항아리 열풍 뒤 숨겨진 비밀
'불쾌한 골짜기' 사라져 충격…3주만에 1400만뷰 찍은 걸그룹
중앙SUNDAY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에서 선정하며 언론사 페이지(아웃링크)로 이동해 볼 수 있습니다.
반지하·저지대·일용직… 끝나지 않은 수난시대
원료값 내려도 제품값 그대로, 기업 탐욕이 물가 자극
참을 수 없는 소음, 없앨 수 없다면 감각을 다스려라
"충성고객 멥버십으로 묶어라" 신·네·쿠 신유통대전
에티오피아 6·25 참전용사 "한국서 또 전쟁 난다면…"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쏠쏠정보
0
흥미진진
0
공감백배
0
분석탁월
0
후속강추
1
중앙SUNDAY 언론사홈 바로가기
더 많은 콘텐츠를 만나는 방법
섬네일 이미지
한국 증시, 미국 증시, 거시 경제까지!
더 이상 우왕좌왕 할 수 없다! 검증된 전문가들과 함께 공부해보세요.

중앙SUNDAY가 이 기사의 댓글 정책을 결정합니다.
전체 댓글0MY댓글
댓글 상세 현황
현재 댓글 0작성자 삭제 0규정 미준수 0
댓글 쓰기
댓글 입력
댓글을 입력해주세요
댓글 정렬 옵션 선택
순공감순 최신순 공감비율순
BEST댓글 운영 기준 안내안내 레이어 보기
클린봇이 악성댓글을 감지합니다.
설정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앙SUNDAY 랭킹 뉴스
오전 6시~7시까지 집계한 결과입니다.
더보기
많이 본
댓글 많은




















구독한 언론사 바로가기
KBS
KBS
조선일보
조선일보
월간산
월간산
매일경제
매일경제
함께 볼만한 뉴스
안내
1 페이지 2 페이지 3 페이지 4 페이지 5 페이지
함께 볼만한 프리미엄 유료안내












1 페이지 2 페이지 3 페이지
로그아웃 전체서비스

서비스안내 뉴스도움말 오류신고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제공처 또는 네이버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NAVER Corp. ⓒ 중앙SUNDAY